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블랙박스] 파인디지털 파인드라이브 2.0 (32GB) 설치하기(2011년형 GM대우 크루즈)

이번에 구매한 블랙박스는 파인디지털 파인드라이브 2.0(32GB) 입니다.
부모님의 자동차에 달아드리려고 합니다.




스펙은 아래와 같은데요 제가 신경 쓴 주요 스펙은
전후방 FullHD, 시야각, 상시전원, 메모리, 디자인, 가격입니다.
이 모든 것을 만족시키는 블랙박스가 파인드라이브였습니다.
가격이 더 싼 것도 있는데 아무래도 네임밸류가 있는 친구를 골랐습니다.

구성품은 
전후방 카메라, 케이스, 카드리더기, 고정클립, 상시전원케이블, 후방카메라 케이블입니다.
아래 사진은 쇼핑몰에서 가져온건데 상시전원 케이블과 후방카메라 케이블이 반대
로 적혀있습니다.


전방 카메라 전면입니다. 전후방 FullHD 스티거가 눈에 띄네요


전방 카메라 후면입니다. 3M스티커가 눈에 띄네요
여름철에도 전면유리에서 떨어지지 않으려면 3M 스티커가 최곱니다.

윗면인데요. 저 USB 잭은 네비게이션과 연결할 때 쓰는겁니다.

반대쪽 윗면인데요. 
왼쪽이 후방카메라 연결하는 잭이구요. 오른쪽이 12V전원 잭입니다.

옆면인데요. 전원을 끄고 켤 수 있습니다.
아주추운 겨울이나 배터리가 약할 때, 잠시 꺼둘 수 있죠.
어떤 블랙박스는 운행중에만 블랙박스가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 
ACC전원도 따로 있더라구요. 파인드라이브는 사용자에 따라 편의성이 좀 달라지겠어요.

MicroSD 카드 슬롯입니다. 
따로 설명안해드려도 MicroSD라고 잘 적혀있네요.

이 모델은 16GB 버전과 32GB버전이 있는데요.
저는 32GB모델을 구매했습니다. 
참고로 이 모델은 32GB까지만 지원합니다. 64GB 꽂아도 인식하지 않습니다.

후방카메라 입니다. 
얘도 3M 스티커가 잘 붙어 있네요.

후방카메라 옆면의 모습입니다.
후방카메라 케이블이 연결되는 곳입니다. 
이 잭으로 전원입력과 영상출력이 동시에 이루어집니다.

자자. 이제 설치를 시작해보겠습니다.
먼저, 운전석에 앉으셔서 블랙박스가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위치를 잡아주세요.
저는 백미러 오른쪽 뒤를 블랙박스 위치로 잡았기 때문에 그쪽부터 시작했습니다.

선을 운전석 전면유리 필러 위로 밀어넣습니다.

군데군데 코너 부분에 고정필러를 붙여서 선이 떨어지지 않게 해주세요.

운전석 문을 열고 도어 패킹을 벗겨줍니다.
벗기실 때 손톱을 이용하여 벗기시면 고무가 찢어질 수도 있습니다.
(제가 그랬다는건 아닙니다....ㅜㅜ)

그다음 운전석 쪽 필러를 적당한 힘으로 당기세요.
그리고 전원케이블을 밀어넣으세요. 
주의할건 후방카메라 케이블까지 덩달아 넣지마세요. 
고생해서 선정리 다했는데 다시 뜯어야 할 수도 있어요.(제가 그랬다는건 아니에요....ㅜㅜ)

이제 퓨즈박스를 열어봅시다.
헐! 크루즈는 퓨즈박스 자리에 수납함이 있습니다. 놀라지 마세요.
이 수납함을 뜯어내면 있습니다.
(네, 이제 고백할게요. 조금 놀랐습니다....)

이 수납함을 잡고 위로 당기시면 수납함을 뜯어낼 수 있습니다.
힘 너무 주시면 안되요...살살...

자 잘 뜯겨졌죠?

수납함 뒷면을 보시면 퓨즈배선도(?)가 있습니다.
퓨즈가 쓰이는 곳을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자 그리고 운전석쪽 필러를 뜯어냅니다.
이건 운전석 고무패킹을 뜯어내시면 쉽게 뜯어집니다.
잘 안되시면 일자드라이버를 이용해서 지렛대의 원리로 뜯어내세요.

자 얘도 잘 뜯어냈습니다. 
(차가 하나하나씩 분해되고 있네요)

드디어 퓨즈함이 정체를 드러냈습니다.
차마다 조금 다릅니다. 그래서 아까 퓨즈 배선도를 잘 봐야해요.
저는 BAT선을 오디오퓨즈에, ACC선을 후방 전원잭 퓨즈에 연결할거에요
BAT는 시동이 꺼졌을 때도, 전원이 들어오고 
ACC는 키를 꽂고 한번 돌렸을 때 전원이 들어옵니다.
요약하자면 BAT는 주차모드, ACC는 주행모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원을 배선하고 후방카메라도 운전선 뒷자리 문의 고무패킹을 
뜯어 동일하게 설치하시면 됩니다.
(사실 사진을 못 찍었습니다...ㅜㅜ)

전방카메라 LED의 모습입니다. 저녁이라서 잘 못찍었는데
하얀색 네모 3개 중에 중간 것만 필요합니다.
중간 버튼을 눌러주세요.

실시간 녹화가 중지되면서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됩니다.

녹화영상을 누르시면 이제까지 녹화된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영상화질을 누르시면 화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중화질이나 저화질로하면 화질을 낮겠지만 오랜기간을 저장할 수 있겠죠?
그러나 고화질로 하시는게 좋습니다. 번호판 식별과 얼굴 식별을 중요하니까요.

화면을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LCD는 오래켜놓으면 수명이 짧아지기 때문에 화면보호기 설정은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주차모드에서는 화면이 꺼지기때문에 화면보호기가 필요하진 않습니다.

민감도를 클릭해주세요. 
이건 자동차가 충격을 받는 정도에 따라서 이벤트 녹화를 한다는 건데요.
보통으로 했습니다. 매우 민감했다가는 계속 이벤트 녹화를 할지 모릅니다.
제 용량은 소중하니까요.
충격감지 알림인데요. 사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밤동안 주차하시고 출근하실 때 혹시 사고가 있었는지
시동을 켜면 알려주는겁니다. 저는 사용함으로 했어요.

주차녹화설정입니다. 상시전원을 사용하는 자동차는
겨울철에 배터리 방전이 많이 일어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배터리 설정을
잘해주어야 출근하실 때 배터리가 방전되어 멘붕되지 않습니다.

저는 모두 12.4V로 설정했습니다. 
여름에는 보통 12.1V로 하기도 하는데 
저는 그냥 12.4V로 했습니다. 혹시 주차모드에 녹화가 안되어 있다면
배터리가 약하다는거니까 배터리를 교체 해주면 되니까요.

그리고 차단 시간도 설정할 수 있는데 정해진시간동안 블랙박스가 작동되지 않는다는겁니다. 아마 오랜기간 주차하는 경우 배터리가 약해져 블랙박스가 꺼져서 배터리를 보호한다는 의미인거 같습니다. 장기간 주차시 블랙박스가 다시 켜지는걸 방지하기 위해 이런 설정이 있는것 같습니다.

저는 시끄러운걸 싫어해서 블랙박스 음량을 1로 줄였습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음량이 높습니다.

여기까지 파인드라이브 2.0 사용 및 설치를 해보았는데요.
아직 32GB가 며칠정도 녹화하는지, 녹화는 제대로 되는지 확인을 못해봤지만
일단 매우 만족입니다. 부모님께서도 좋아하시네요.
후방카메라 배선 사진을 못찍은게 아쉽지만 다음에 부모님 댁에 가면
사진을 마저 보충하겠습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공유기] KT GIGA WiFi Home 무선공유기 리피터(허브) 모드 변경하기(하나의 네트워크)

ipTIME 공유기로 넓은 어린이집을 커버하고 있던 와중에 KT 장기고객 서비스로 GIGA WiFi Home 공유기를 무료로 받게 되었습니다. 무려 한달에 1100원짜리 공유기입니다.  24개월로 환산한다면 넉넉잡아 3만원짜리 공유기입니다. 아쉽게도 wave버전의 공유기는 받지 못했습니다.  KT 인터넷을 중도해지 한다면 무료로 제공받은 금액을 위약금으로 물어야겠죠. (하지만 해지하지 않을거에요. 장기고객할인을 받고 있기때문이죠) 실물은 아래처럼 생겼습니다. 기사님이 아주 멋지게 설치해주셔서 손댈게 없는 줄 알았으나.... 기사님은 공유기를 설치만 하시는 전문가 이기때문에  KT 공유기는 기존에 사용중이던 ipTIME 공유기와는  전혀 다른 WiFi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버렸습니다... 그래서 새로운 WiFi를 접속하면 매우 빠른 속도를 느낄 수 있으나  프린터와 공유폴더 접속이 안되는 단점 이 생겨버렸습니다... 그리하여 모든 WiFi 기기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하기 위해  새로운 공유기를 공유기 모드가 아닌 리피터 모드로 변경하였습니다. ( 리피터 모드 :두개의 공유기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는 방법이 방법중에 하나)  먼저 KT GIGA WiFi Home 허브 관리자 페이지로 접속하기 위해 웹브라우저를 켭니다. (모바일과 데스크탑 접속 방식이 똑같기 때문에 저는 모바일로 접속하였습니다.) 그리고 주소창에 http://173.30.1.254 혹은 http://homehub.olleh.com 를 입력합니다. 로그인 창이 나오면 ID: ktuser, PASSWORD: homehub 를 입력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요.  장치설정 을 클릭합니다. 네트워크 관리 를 클릭해주세요.  IP 할당정책 을 클릭합니다. 기본 설정이 kt 모드인데요. 공유기 모드와 비슷합니다. 여기서 브릿지 모드 를 클릭해주세요

[Windows 10] 바탕 화면이 흑백모드로 변경되었을 때 수정하기(색상필터 비교하기)

어느날 갑자기 PC의 화면이 흑백TV처럼 흑백모드로 바뀌어 버렸습니다. 먼저, 바탕화면을 마우스 우클릭하여 디스플레이 설정 에 들어가봅니다. 야간모드 가 켜져있나 확인합니다. 켜져있지 않다면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서  어댑터 속성 표시 를 클릭합니다. 모든 모드 표시 를 클릭합니다. 트루 컬러(32비트) 인지 확인합니다. 위의 항목이 정상이라면 다시 바탕화면으로 돌아오셔서 시작버튼 마우스 우클릭을 하셔서 실행 을 클릭합니다. 접근성 항목을 클릭합니다. 색상 필터가 켜져있을건데요. 색상 필터를 꺼주세요. 정상으로 돌아왔습니다 :) 참고, 이왕 블로그에 접속하셨다면 색상 필터를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만 하세요 :) 먼저 정상인 사진이 있어야 비교를 하겠죠? 제가 생각하기에 Chrome 아이콘이 심플하게 RGB색상이 모두 있어서 비교하기가  좋을거 같아서 채택했습니다. 다른 사진으로 비교하셔도 되요 :) 색상 필터를 회색조로 변경한 아이콘입니다.  회색조는 Gray-scale이라고도 하고 이진 이미지라고도 불리는데요. 간단하게 원본이미지가 연한 톤이라면 하얀색계열이 강하고,  진하면 검은색계열이 강합니다. 색상 필터를 반전으로 변경한 아이콘입니다. 색상 비트를 반대로 돌리는거 같은데요. 이건 저도 잘 몰라서 느낌으로 이해하시면 좋을거 같아요.ㅠㅠ (색상 비트를 반대로 돌리는거 같아요...?) 이건 회색조를 반전 시킨건인데요. 위의 회색조와 색상이 반대로 되어있네요 :) 녹색맹 버전입니다.  녹색맹은 녹색을 잘 인식하지 못하고 청색-노란색을 주로 인식한다네요. 원본이미지와 비교하면  아이콘은 청색을 강화된 느낌을 줍니다.  적색맹 버전입니다. 적색맹은 적색이 잘 안보이고 마찬가지로 청색-노란색을 잘인식 하는데  녹

인증서 발급에 실패했습니다.[-2] 등록 후 (30)일이 지나 인증서를 발급할 수 없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이용약관을 참조하세요.

갱신기간이 만료된 공인인증서를 재발급하고자 할 때, 공인인증서 발급이 실패했다고  아래와 같은 알림이 발생합니다. "인증서  발급에 실패했습니다.[-2] 등록 후 (30)일이 지나 인증서를 발급할 수 없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이용약관을 참조하세요." 보통 공인인증서는 만료 날짜 30일 전 부터 공인인증서를 사용하는 은행이나 여러 금융권 사이트의 로그인 화면에서 갱신 알림 볼 수 있습니다.  갱신은 해당  금융 사이트나 한국전자인증(http://www.crosscert.com) 에서  손쉽게 갱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갱신기간이 지나면 해당 공인인증서가 정지되고 접속하고자하는 사이트에  로그인을 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 단순하게 아래의 안내대로 은행사이트나 한국전자인증에서 재발급 받으실 수 없습니다. 위의 안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재발급은 공인인증서가 유효한 기간에 PC에서 삭제되었거나 USB 등 보안매체를 분실한 경우, (개인은 해당되지 않지만)업체명이 바뀐 경우에만 가능 합니다. 여기서 핵심은 유효한 기간 이라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료된 공인인증서를 재발급 받기 위해서는  한국전자인증 콜센터에서 등록 정지된 공인인증서를 해제 시켜주어야 합니다. (저는 이것도 모르고 직접 은행에 가서 재발급을 하였습니다 :) 문의는 1566-0566 입니다. (해외는 82-2-3470-3701이라네요 :) 상담원과 상담 후에 다시 재발급 과정을 거치면 언제 그랬냐는듯이  쉽게 재발급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다같이 따라해봅시다  공인인증서 갱신은 기간 만료 30일 전에 가능! 공인인증서 재발급은 인증서가 유효한 기간에 가능! 공인인증서 정지 해제는 한국전자인증 콜센터에서 가능! 이상입니다!